본문 바로가기
아파트 가든

장미 생장이 안 좋아요. 원인은 노균병? 뿌리파리?

by Justin486 2020. 7. 4.
반응형

최근 장마가 계속되면서, 습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후덥지근한 날씨도 비가 며칠 오더니 다시 시원해졌네요.

시원한 바람이 저희에겐 좋습니다만, 장미에겐 그렇지 못한 모양입니다.

 

요 몇 일, 장미 상태가 많이 좋지 않습니다. 잎끝이 마르는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요.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장마철에 노균병이 주로 나타난다고 하더군요.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분들은 노균병 때문에 장마철이 많이 힘들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이유는 품종이 병에 취약해서 그럴 수도 있고,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고 습한 환경이 계속 유지되면 노균병이 잘 나타난다고 합니다.

 

 

 

오늘 아침 장미상태입니다. 장미 잎 끝부분이 노랗게 변하면서 잎 전체가 물러지는 현상이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가까이에서 보면 이렇게 잎 상태가 좋지 않은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몇 군데가 아니고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걸 보니, 무슨 병이 든 게 아닐까 싶네요.

가운데 사진에 보이는 장미는 새로 나던 잎들이 다 시들어 버리고, 생장이 정말 더딘 상황입니다. 왠지 고사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네요.

 

삽목 해서 6월 중순까지 잘 자라주던 장미들도 잎에 힘이 없어지면서 시들시들합니다.

로즈마리는 다행히 흙에 잘 적응해 잘 자라고 있습니다. 뿌리가 화분 밑으로 나온 상황이라 곧 분갈이를 해줘야 되겠네요.

 

노균병에 대한 인터넷에서 약을 찾아봤습니다만, 대부분 농약이라 집 안에서 사용하기는 좀 꺼려지더라고요.

장마기간이 지나고 날씨가 좋아져서 일교차가 줄어들면, 상태가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하며 우선 조금 더 기다려보려고 합니다.

 

 

 

흰가루 병은 지난번에 해본 알콜솜으로 잎을 직접 닦아줬더니 그 부분에는 다시 흰가루 병이 재발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여기저기 다시 번지는 것 까지는 막을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흰가루 병이 있는 부분과 그 주변 잎과 줄기를 알콤 솜으로 닦아주니 효과가 있는 건 알게 되었습니다.

오늘 아침도 잎 전체를 확인하면서, 발생한 곳과 그 주위를 닦아줬습니다. 집사일이 장난이 아니네요.

 

생장이 더디고 잎이 끝이 마르는데 또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얼마 전부터 저희 집에 불청객이 나타났습니다. 부르지도 않고, 어떻게든 막아보려고 했는데 어디에서 나타나는 것인지 정말 알 수가 없지만 지금 잡으려고 애를 쓰고 있답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이 있죠. 이 불청객을 잡으려다 장미 잎과 다른 식물들 잎이 상하고 있습니다.

전기 파리채로 잡으려다 애꿎은 장미 잎만 상하고 있습니다.

잡아보려고 박스테이프를 잘라서 화분 주위에도 감아봤는데 신기하게도 테이프 근처로는 날아가지 않더라고요.
이건 무슨 상황인지 오히려 박스테이프들이 이 불청객들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주네요.

손에는 잘만 붙는 박스테이프에 불청객이 날아가도 제가 의도했던 대로 테이프에는 붙지 않더군요.

 

 

 

결국 테이프를 때어내고, 전기 파리채로 잡으려다가 식물들만 고생시키고 있습니다.

오늘 아침에도 두 마리를 잡았는데요. 다행히 모양이 어느 정도 잘 보존되어 있어서 사진으로 찍은 뒤 확인을 해보니 뿌리파리가 맞는 걸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보통 잡고 난 뒤, 어디에 떨어졌는지 확인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래서, 뿌리파리 같다는 생각은 많이 했지만, 실제로 확인하고 나니 씁쓸하네요.

두 마리 중 좀 더 큰 녀석인데, 확대한 사진이라 커 보이지만 아주 작아서 잡기가 힘듭니다.

전기 파리채를 세게 휘두르면 바람에 날아가 버리고, 가끔 전기파리채 사이를 통과해서 지나가기도 하고, 작아서 화분 사이나 베고니아 잎 아래로 숨어버리면 잡기가 너무 힘듭니다.

 

 

 

우선 성충을 빨리 없애버려야 유충이 계속 나오는 걸 막을 수 있는데...

집 안에 살충제를 뿌리기도 꺼려지고, 작년에 드루이드 묘약을 단계별로 뿌려보고 최후의 수단인 타락한 드루이드 묘약도 사용해봤지만, 결국 실패를 했었기 때문에 고민이 됩니다.

일단 성충을 없애서 유충이 더 나오지 않도록 시도해봐야겠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