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IT 용품

애플워치 심전도 측정 및 불규칙한 박동 알림 가능 (iOS 14.2, watchOS 7.1)

by Justin486 2020. 11. 6.
반응형

드디어 기다리던 심전도 (EKG) 측정과 불규칙한 심박동 알림 기능이 애플 워치에서 가능해졌습니다.

우선 아이폰이 iOS 14.2, 그리고 애플워치 watchOS가 7.1로 업데이트가 되어야 합니다.

 

iOS 14.2 에서는 새로운 이모지가 100가지 추가되고, 8가지 새로운 배경화면이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나머지는 아이폰 12 프로와 아이폰 12 프로맥스 관련 LiDAR 센서 관련 기능 등이 추가되었는데요. 아직 아이폰 7 플러스를 사용하는 저에겐 에어팟 배터리 노화를 막게 해 주는 최적화된 충전 지원이 도움이 되겠네요.

아이폰 업데이트와 애플워치 업데이트를 동시에 진행시켰는데, 아이폰 업데이트가 먼저 완료되었습니다.

애플 워치는 업데이트되는데 2시간가량 걸린 것 같습니다. 처음 시작은 약 16시간 남았다고 나왔었는데, 점점 1시간씩 줄더군요.

 

 

드디어 iOS 14.2, 그리고 watchOS가 7.1 로 모두 업데이트가 끝이 났습니다.

이제 심전도와 불규칙한 박동 측정을 위한 설정을 하기 위해 아이폰에서 건강 앱을 실행해주세요.

불규칙한 박동 알림 메뉴에 들어가서 '알림 설정'을 선택하고 생년월일, 과거 심방세동 진단을 받았는지에 대해 선택하고 '계속'을 눌러 진행하면, 이 기능에 대해 주의사항을 알려줍니다.

의료진단 장비가 아니니 주의사항을 미리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내용은 의사와 상의하라고 되어있습니다.

도움을 주는 기기이지만, 정확한 건 의사에게 진단을 받아보라는 거겠죠.

설정이 모두 끝나고 나면, 앞에서 알려줬던 내용과 알림을 받은 내역이 있는지 메뉴에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불규칙한 심장박동에 대한 설정을 끝냈으니, 이제 심전도 설정을 하러 가볼까요?

예전에는 활성화할 수 없다고 나왔는데, 이제 가능합니다. 여기에서는 생년월일만 넣어주면 됩니다.

생년월일을 입력하고 나면, 앱 작동 방식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줍니다. 이 내용을 확인하고 나면, 애플 워치에서 심전도 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애플워치에서 심전도 앱을 찾아 실행합니다. 처음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이 안내문이 애플워치에 나타납니다.

설정해놓은 게 맞으면 '확인'을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하트 모양이 나타나며 심전도 측정 앱이 실행됩니다.

디지털 크라운에 손가락을 가져다 대면, 심전도 측정이 시작됩니다. 30초간 측정을 하고 결과를 보여줍니다.

증상이 있었다면,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거나 증상이 없음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을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측정 중 시계가 있는 팔에 힘이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리듬이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아서 여러 번 테스트를 해봤네요. 그래서, 위 사진에 나온 시간들이 다르게 나왔습니다.

측정 중에는 안내에 따라 팔을 허벅지나 테이블 위에 놓고 최대한 움직이지 말아야 합니다. 말을 해도 안되고, 숨을 참아도 이상하게 나오는 것 같아요. 최대한 몸에 힘을 빼고 편안하게 측정을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팔에 힘이 들어가거나 했다고 해서 측정이 안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심장박동 그래프가 이상하게 보이죠. 중간에 손가락을 때면 측정이 취소됩니다.

그리고, 애플 워치가 움직이지 않게 손목에 꼭 맞게 줄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평소에 느슨하게 차시는 분들도 정확한 측정을 위해 꼭 맞게 착용해야 합니다.

 

 

저는 몇 번 측정해봤는데, 아무 이상 없는 걸로 나왔습니다. ㅎㅎ

드디어 기다리던 심전도 측정과 불규칙한 심장박동에 대한 기능이 우리나라에서도 활성화가 되어 기분이 좋습니다.

애플에서 키노트에서 보여준 사례를 본다면, 심근경색 진단을 받으셨거나, 가족 중에 심근경색을 앓은 분들이 계신다면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물론, 애플 워치만 100% 신뢰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정도 안심은 될 것 같습니다.

 

심전도 기능은 애플워치 4부터 사용이 가능하며, 애플 워치 SE는 해당 기능이 없으니 참고하세요.

이제 한국에서도 애플 워치 6와 애플 워치 SE 와 차이점은 상시 디스플레이, 혈중 산소포화도, 심전도 및 불규칙한 심장박동 측정으로 변경이 되었네요.

 

 

반응형

댓글